목성의 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성의 고리는 1979년 보이저 1호에 의해 처음 발견된, 토성, 천왕성에 이어 세 번째로 발견된 태양계 고리이다. 헤일로 고리, 주 고리,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 테베 고사머 고리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성과의 상호작용, 혜성과의 충돌, 포인팅-로버트슨 효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진화한다. 목성의 고리에 대한 탐사는 보이저 1호, 갈릴레오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 등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미래의 탐사선들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가 얻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 고리 - 로슈 한계
로슈 한계는 위성이 모행성의 기조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존재할 수 있는 최소 거리로, 모행성의 중력 차이가 위성을 유지하는 중력보다 클 때 위성이 분해되는 현상을 설명하며, 행성 고리의 위치 및 천체의 파괴 과정과 관련된다. - 행성 고리 - 레아 (위성)
레아는 조반니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두 번째로 큰 위성으로, 수많은 충돌구와 밝은 선 구조로 덮인 표면, 희박한 외기권, 과거 고리 존재 가능성이 특징이며, 여러 탐사선에 의해 탐사되었다. - 1979년 발견한 천체 - SGR 1806-20
SGR 1806-20은 궁수자리 방향 5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마그네타로,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며 1979년 감마선 폭발로 처음 발견되었고, 2004년 지구 전리층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했다. - 1979년 발견한 천체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목성 - 가니메데 (위성)
가니메데는 갈릴레이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가장 크고 태양계에서도 가장 큰 위성으로, 암석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바다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독자적인 자기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오 및 유로파와 라플라스 공명 관계를 이루고, 특이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JUICE 탐사선이 탐사 예정이다. - 목성 - 대적점
목성의 대적점은 남반구에 위치한 거대한 고기압성 폭풍으로, 17세기부터 관측되었고 보이저와 주노 탐사선 등을 통해 자세히 관측되었으며, 최근 크기가 줄어들면서 소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목성의 고리 | |
---|---|
고리 정보 | |
발견 | 1979년 보이저 1호 |
발견자 | 보이저 계획 |
종류 | 행성 고리 |
행성 | 목성 |
고리 주요 정보 | |
이루는 것 | 먼지 입자 |
고리 목록 | |
고리 | 헤일로 고리 |
2. 발견 및 구조
목성의 고리는 1979년 보이저 1호가 처음 발견하였으며, 태양계에서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다.[77] 목성의 고리는 안쪽의 두꺼운 토러스 형태인 헤일로 고리, 상대적으로 밝지만 얇은 주 고리, 넓고 어두운 두 개의 고사머 고리( 아말테아와 테베의 이름을 딴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와 테베 고사머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78][3]
이름 | 반지름 (km) | 너비 (km) | 두께 (km) | 광학적 깊이 (τ) | 입도 분포 | 질량 (kg) | 비고 |
---|---|---|---|---|---|---|---|
헤일로 고리 Halo | 92000 ~ 122500 | 30500 | 12500 | ≒10-6 | 100% | — | |
주 고리 Main | 122500 ~ 129000 | 6500 | 30 ~ 300 | 5.9 | ~25% | 107 ~ 109 (먼지) 1011 ~ 1016 (커다란 입자) | 아드라스테아가 경계를 만듬 |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 Amalthea Gossamer | 129000 ~ 182000 | 53000 | 2000 | ≒10-7 | 100% | 107 ~ 109 | 아말테아와 연결됨 |
테베 고사머 고리 Thebe Gossamer | 129000 ~ 226000 | 97000 | 8400 | ≒3 | 100% | 107 ~ 109 | 테베와 연결됨 |
목성의 고리의 존재는 1975년 파이어니어 11호의 목성 방사선대 관측에서 처음으로 암시되었다.[113] 1979년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는 고리의 사진을 촬영하여 구조를 개략적으로 확인하였다.[77][79]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갈릴레오 탐사선은 고리를 매우 상세하게 찍은 사진들을 보내왔으며,[81]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켁 천문대[103]와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91]의 관측을 통해 고리의 구조를 밝혀내었다. 2000년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114]과 2007년 뉴 허라이즌스[87]가 촬영한 사진들은 주 고리의 구조를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2022년의 역학적 시뮬레이션에서는 목성의 고리 시스템이 토성의 고리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이유가 갈릴레이 위성에 의해 생성된 불안정화 공명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5]
2. 1. 헤일로 고리
헤일로 고리는 목성의 고리 중 가장 안쪽에 있으며, 수직으로 가장 두꺼운 고리이다. 바깥쪽 끝은 주 고리의 안쪽 끝과 만나며, 목성 중심으로부터 약 122500km (1.72 ''R''j) 지점에 위치한다.[81][79] 이 지점부터 고리는 목성 쪽으로 급격하게 두꺼워진다. 헤일로 고리의 정확한 수직 두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리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10000km 떨어진 곳에서도 고리 입자가 발견되었다.[81][103] 안쪽 경계는 약 100000km(1.4 ''R''j) 지점으로 비교적 뚜렷하지만,[103] 일부 입자는 92000km 지점까지 뻗어 있다.[81] 따라서 헤일로 고리의 폭은 약 30000km이다. 헤일로 고리는 두꺼운 토러스와 비슷하며, 뚜렷한 내부 구조는 없다.[84]갈릴레오 탐사선 관측에 따르면, 헤일로 고리는 전방 산란광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81] 밝기는 주 고리보다 낮지만, 수직 방향의 총 광자 선속은 주 고리와 비슷한데, 이는 헤일로 고리가 훨씬 두껍기 때문이다. 수직 폭이 20000km가 넘지만, 밝기는 고리 중심부에 집중되며, 멱법칙 ''z''−0.6 ~ ''z''−1.5를 따른다.[84] 여기서 ''z''는 고리 평면으로부터의 고도이다. 켁 천문대[103] 및 허블 우주 망원경[91]으로 후방 산란광에서 관측한 결과도 이와 유사했다. 하지만 총 수직 방향 광자 선속은 주 고리보다 몇 배 낮았고, 고리 중심부로 더 집중되었다.[84]
헤일로 고리의 스펙트럼은 주 고리와 다르며, 0.5–2.5 μm 범위의 선속 분산 정도가 주 고리보다 더 평평하다.[91] 헤일로 고리는 주 고리와 달리 붉은색이 아니며, 푸른색으로 추정된다.[89]
이러한 헤일로 고리의 특징은 15 μm 미만의 먼지 입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설명할 수 있다.[91][84][92] 특히 고리 평면에서 멀리 떨어진 입자들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일 것으로 추정된다.[91][103][84] 먼지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은 전방 산란광이 강하고, 푸른색을 띠며, 뚜렷한 내부 구조가 없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헤일로 고리의 먼지는 주 고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헤일로 고리의 광학적 깊이 가 주 고리의 먼지와 비슷하기 때문이다.[79][84] 헤일로 고리가 두꺼운 이유는 목성 자기권의 전자기력으로 인해 먼지들의 궤도 이심률 및 경사각이 틀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바깥 경계는 3:2 로렌츠 공명이 일어나는 곳과 일치한다.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주 고리의 입자들이 목성 쪽으로 떨어지면서 로렌츠 공명 지역을 통과할 때 궤도 경사가 커진다. 즉, 주 고리의 안쪽 부분이 헤일로 고리의 시작 부분이 된다.[84] 주 고리에서 입자가 전달되므로, 헤일로 고리의 나이는 주 고리와 같다.[84] 안쪽 끝 부분은 2:1 로렌츠 공명이 강하게 발생하는 곳에서 멀지 않다. 이 공명은 입자들을 목성 대기권으로 밀어 넣어, 헤일로 고리의 안쪽 경계를 날카롭게 만든다.[84]
2. 2. 주 고리
주 고리는 목성의 고리 중 가장 밝은 부분으로, 폭은 약 6500km이다. 바깥쪽 경계는 아드라스테아 궤도와 일치하는 약 129000km () 지점이며,[80][81][79] 안쪽 경계는 약 122500km () 지점이다.[81]주 고리는 관측 위치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84] 전방 산란광[82]에서는 아드라스테아 궤도 약간 안쪽(약 128600km)에서부터 밝기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아드라스테아 궤도 약간 바깥쪽(약 129300km)에서 배경과 거의 같아진다.[81] 따라서 아드라스테아(129000km 지점)는 양치기 위성 역할을 한다.[81][79] 고리 밝기는 목성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126000km 지점에서 최대가 되지만, 메티스(128000km 지점)가 만드는 간극이 존재한다.[81] 안쪽 부분은 124000km 지점에서 120000km 지점까지 천천히 어두워져 헤일로 고리와 연결된다.[81][79]

후방 산란광[83]에서는 아드라스테아 궤도 약간 바깥쪽(약 129100km)에서 밝기가 급격히 어두워진다.[84] 여기에는 작은 고리 입자가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아드라스테아 궤도 약간 안쪽(약 128500km)에 두 번째 고리 입자가 존재하며,[84] 세 번째 고리 입자는 메티스 궤도 바깥쪽, 주 고리 중앙 부분에 존재한다.
메티스 궤도 바로 바깥쪽에서 밝기가 급격히 감소하여 메티스 간극을 형성한다.[84] 메티스 궤도 안쪽에서는 밝기 증가량이 적다.[103] 따라서 후방 산란광에서는 주 고리가 좁은 지역(128000km ~ 129000km)과 어두운 안쪽 부분(122500km ~ 128000km)으로 나뉘며, 메티스 간극이 경계선 역할을 한다.[84][85]
주 고리 구조는 갈릴레오 탐사선과 2007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의 후방 산란광 관측으로 밝혀졌다.[86][87] 이전 허블 우주 망원경,[91] 켁 천문대,[103]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의 관측에서는 화질 문제로 발견되지 못했다.[94] 하지만 2002~2003년 켁 천문대에서 적응광학을 이용하여 구조를 관측하는 데 성공하였다.[88]
후방 산란광 관측에서 주 고리는 수직 방향으로 30km가 넘지 않을 정도로 얇다.[79] 측면 산란광에서는 80km ~ 160km로 나타났고, 목성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다소 증가한다.[81][94] 전방 산란광에서는 두께가 약 300km 정도로 두껍게 측정된다.[81] 갈릴레오 탐사선은 옅고 두꺼운(약 600km) "먼지 구름"이 주 고리 내부를 감싸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81] 이 "먼지 구름"은 안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헤일로 고리와 연결된다.[81]
갈릴레오 탐사선 사진 분석 결과, 주 고리 밝기 변화와 관측 시점 간 관련성은 없었으며, 크기 500km ~ 1000km 정도의 "얼룩"이 존재함도 밝혀졌다.[81][84]
2007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은 주 고리 내부 작은 위성들을 연구하여, 7개의 작은 "먼지 뭉치"들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아드라스테아 궤도 안쪽에서 공전한다.[97] 이들은 메티스와 114:115 또는 115:116 궤도 공명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여[97] 상호작용에 의해 파동 모양을 이룰 수 있다고 추측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91] 켁 천문대,[89] 갈릴레오 탐사선[90] 및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94]의 스펙트럼 분석에서는 입자들이 적색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긴 파장에서 반사율이 더 높음을 나타낸다. 고리 스펙트럼에서는 특정한 화합물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카시니 탐사선이 0.8 ~ 2.2 μm 대역에서 흡수선 존재를 밝혀내었다.[94] 주 고리 스펙트럼은 아드라스테아, 아말테아와 매우 유사하다.[91][89]
전방 산란광이 강하다는 점은 고리에 0.1–10 μm 크기 먼지가 많다는 가설로 설명 가능하다.[84][85] 하지만, 바깥쪽 부분의 강한 후방 산란광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더 큰 먼지들이 필요하다.[84][85]
고리 스펙트럼 데이터와 위상 변화를 통해, 작은 입자들의 입도 분포는 멱법칙을 따른다는 것이 밝혀졌다.[94][92][93]
:
여기서 ''n''(''r'') ''dr''은 반지름 ''r'' ~ ''r'' + ''dr'' 사이 먼지들의 수이며, 는 고리에서 나오는 총 빛 선속을 일치시키기 위한 정규화 매개변수이다. ''q''는 ''r'' < 15 ± 0.3 μm 범위 입자들에 대해 2.0 ± 0.2, ''r'' > 15 ± 0.3 μm 범위 입자들에 대해 5 ± 1이다.[94] 밀리미터~킬로미터 범위 큰 입자들의 입도 분포는 아직 정해지지 못하였다.[84] 빛 산란은 반지름 15 μm 근방 입자들에 의해 결정된다.[94][90]
위 멱법칙을 통해, 주 고리의 광학적 깊이 는 큰 입자들이 , 먼지들은 로 추측되었다.[94] 이는 고리 내 입자들의 총 단면적이 약 5000 km2임을 의미한다.[84] 입자들은 비구체로 추정된다.[94]
작은 입자(먼지) 총 질량은 약 107−109 kg,[84]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를 제외한 큰 입자 질량은 약 1011−1016 kg이다. 이는 최대 크기 약 1 km와 부합한다.[84]
입자들이 두 집단으로 나뉜다는 점은 고리가 전후방 산란광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한다.[93] 먼지는 빛을 주로 앞쪽으로 산란시켜 아드라스테아 궤도 주변에 두꺼운 균질 고리를 형성한다.[84] 반면, 큰 입자들은 빛을 주로 뒤쪽으로 산란시켜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 사이 좁은 고리를 만든다.[84][85]
먼지들은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와 목성 자기권의 전자기력에 의해 주 고리에서 밀려나고,[93][96] 휘발성 물질은 빠르게 증발한다. 고리에서 먼지 수명은 약 100 ~ 1000년이므로,[84][96] 큰 물체(지름 1 cm ~ 0.5 km) 충돌로 먼지가 계속 공급되어야 한다.[97][84][96] 먼지 생산 천체(메티스, 아드라스테아 포함)는 좁고 밝은 주 고리 외부에 밀집되어 있으며,[84][85] 크기 0.5 km 미만으로 추측된다.[97] 충돌로 생성된 먼지는 충돌 전 천체와 궤도가 거의 같다가, 목성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떨어지며 주 고리 내부와 헤일로 고리를 형성한다.[84][96]
주 고리 연령은 불명이지만, 과거 "생산 천체"들의 마지막 조각으로 여겨진다.[78]
2. 3. 고사머 고리
고사머 고리는 매우 희미한 두 개의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은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 바깥쪽은 테베 고사머 고리이다.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는 아말테아 궤도 부근(반지름 약 18만 2,000 km, 2.54Rj)에서 약 12만 9,000 km()까지 뻗어 있다.[43][44] 테베 고사머 고리는 테베 궤도 부근(반지름 22만 6,000km, 3.11Rj)에서 약 12만 9,000km()까지 뻗어 있다.[43][44]두 고리 모두 안쪽 경계는 더 밝은 주 고리와 헤일로 고리 때문에 명확하지 않다.[43] 고리의 두께는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가 아말테아 궤도 근처에서 약 2300km, 테베 고사머 고리가 테베 궤도 근처에서 약 8400km이며, 두 고리 모두 목성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한다.[63]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와 테베 고사머 고리는 모두 위쪽과 아래쪽 가장자리 부근에서 가장 밝고, 목성 방향으로 갈수록 밝아진다.[66]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의 바깥쪽 경계는 비교적 명확하며, 밝기가 아말테아 궤도 바로 안쪽에서 급격히 감소하지만, 테베와의 4:3 궤도 공명 부근까지 약간 뻗어 있다.[43][48] 테베 고사머 고리의 바깥쪽 경계는 명확하지 않고, 15000km 이상 뻗어 있으며, 테베 궤도를 넘어 280000km(3.75Rj)까지 뻗어 있는 '테베 확장'도 관측된다.[43][67]
순방향 산란에서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는 주 고리보다 약 30배 어둡고, 테베 고사머 고리는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보다 약 3배 어둡다.[43] 후방 산란에서는 켁 천문대와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서만 관측되었는데, 두 고리 모두 각 위성 궤도 바로 안쪽에 밝기 피크가 나타났다.[63][48]
2002~2003년 갈릴레오 탐사선이 고사머 고리를 통과하면서 에서 크기의 먼지 입자를 감지했고,[69][67] 아말테아 근처에서 1km 미만의 작은 천체도 발견했다.[68] 이는 위성과의 충돌로 생성된 잔해로 추정된다.
지상 관측, 갈릴레오 탐사선의 이미지와 먼지 측정을 통해, 고사머 고리 먼지 크기 분포는 멱법칙을 따르며(q = 2 ± 0.5),[45][67] 광학적 깊이는 약 10−7(아말테아 고사머 고리), 3 × 10−8(테베 고사머 고리) 수준으로 주 고리보다 낮지만, 먼지 총 질량은 107–109 kg으로 비슷하다.[56][67] 다만, 테베 고사머 고리의 입자 크기 분포는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보다 다소 완만하다(q < 2).[67]
고사머 고리의 먼지는 주 고리 및 헤일로 고리와 기원이 같으며,[56] 각각 아말테아와 테베 표면에서 목성계 외부 천체와의 고속 충돌로 방출된 먼지 입자들이다.[56] 이 입자들은 처음에는 위성 궤도를 유지하지만,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점차 안쪽으로 이동한다.[56] 고사머 고리의 두께는 위성들의 궤도 경사에 따른 수직 이동으로 결정된다.[44]
하지만 테베 확장, 후방 산란 구조 등 일부 특징은 아직 설명되지 않는다.[44] 테베 확장은 목성 자기권의 전자기력 영향으로 먼지가 목성 뒤 그림자에서 전하를 잃고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생성된다는 가설이 있다.[70] 아말테아와 테베 궤도 사이 입자 분포 및 밝기 감소도 같은 힘으로 설명 가능하다.[67][70]
아말테아와 테베 궤도 안쪽 밝기 피크와 수직 비대칭성은 각 위성의 라그랑주 점(L4, L5)에 먼지 입자가 갇혀 말굽 궤도를 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6] 이는 고사머 고리에 목성으로 천천히 이동하는 먼지와 위성 근처에 1:1 공명으로 갇힌 먼지, 두 종류의 입자 집단이 있음을 시사한다.[66]
3. 각 고리의 특징 (표)
이름 | 반지름 (km) | 폭 (km) | 두께 (km) | 광학 깊이 | 먼지 비율 (%) | 질량 (kg) | 비고 |
---|---|---|---|---|---|---|---|
헤일로 고리 | 92000 ~ 122500 | 30500 | 12500 | ≒10-6 | 100 | — | |
주 고리 | 122500 ~ 129000 | 6500 | 30 ~ 300 | 5.9 × 10-6 | ~25 | 107 ~ 109 (먼지) 1011 ~ 1016 (큰 입자) | 아드라스테아가 경계를 만듦 |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 | 129000 ~ 182000 | 53000 | 2000 | ≒10-7 | 100 | 107 ~ 109 | 아말테아와 연결됨 |
테베 고사머 고리 | 129000 ~ 226000 | 97000 | 8400 | ≒3 × 10-8 | 100 | 107 ~ 109 | 테베와 연결됨 |
4. 위성과의 상호작용
목성의 고리는 여러 위성들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 특히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주 고리의 경계를 형성하며, 고리 입자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양치기 위성 역할을 한다.[43][42] 아말테아와 테베는 각각 자신의 이름을 딴 고사머 고리의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43][44]
- 주 고리와의 상호작용:
- 메티스: 주 고리 안쪽에 위치하며, 주 고리에 뚜렷한 간극(노치)을 만든다.[6]
- 아드라스테아: 주 고리 바깥쪽 경계에 위치하며, 양치기 위성으로서 고리 입자들이 흩어지지 않도록 돕는다.[43][42]
-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은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 궤도 부근에서 고리 입자 덩어리들을 발견했는데, 이는 위성과의 궤도 공명 때문일 수 있다.[22]
- 고사머 고리와의 상호작용:
- 아말테아: 아말테아 고사머 고리는 아말테아 궤도에서부터 안쪽으로 뻗어 있으며, 위성에서 방출된 먼지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43][44]
- 테베: 테베 고사머 고리는 테베 궤도에서부터 안쪽으로 뻗어 있으며, 역시 위성에서 방출된 먼지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3][44]
- 고사머 고리의 두께는 위성들의 궤도 경사각에 따른 수직 방향 편위 운동으로 설명된다.[44]
- 고사머 고리 입자들은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서서히 목성 쪽으로 이동한다.[56]
- 아말테아와 테베 고사머 고리의 밝기 비대칭성, 밝기 피크 등은 위성의 라그랑주 점에 입자가 포획되기 때문일 수 있다.[66]
이러한 위성과의 상호작용은 목성 고리의 형태, 밀도, 입자 분포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5. 기원 및 진화
목성의 고리는 태양계에서 토성의 고리, 천왕성의 고리 다음으로 세 번째로 발견되었으며, 1979년 보이저 1호 우주 탐사선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다.[1][2] 2022년의 역학적 시뮬레이션에서는 목성의 고리 시스템이 갈릴레이 위성에 의해 생성된 불안정화 공명 때문에 상대적으로 빈약하다는 결과가 나왔다.[5]
먼지 입자는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와 목성 자기권의 전자기력에 의해 주 고리에서 지속적으로 제거된다.[18][21] 얼음과 같은 휘발성 물질은 빠르게 증발하며, 고리 내 먼지 입자의 수명은 100년에서 1,000년 정도이다.[9][21] 따라서 먼지는 크기가 1cm에서 0.5km에 이르는 대형 천체 간의 충돌[22]과 목성계 외부에서 오는 고속 입자와의 충돌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된다.[9][21]
이러한 모천체 집단은 주 고리의 좁고 밝은 바깥 부분에 국한되어 있으며,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가 포함된다.[9][10] 가장 큰 모천체는 크기가 0.5km 미만이어야 하며, 이는 ''뉴 호라이즌스'' 우주선에 의해 확인되었다.[22] 충돌로 생성된 먼지는 모천체와 거의 동일한 궤도 요소를 유지하며 목성 방향으로 서서히 나선형으로 이동하여 주 고리와 헤일로 고리의 희미한 가장 안쪽 부분을 형성한다.[9][21]
주 고리의 나이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목성 근처에 있었던 과거의 작은 천체 집단의 마지막 잔재일 수 있다.[3]
할로 고리의 광학적 특성은 15μ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진 먼지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16][9][17] 할로의 큰 두께는 목성 자기권 내의 전자기력에 의한 먼지 입자의 궤도 경사와 궤도 이심률의 여기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할로 고리의 외곽 경계는 3:2 로렌츠 공명 위치와 일치한다.[18][29][30] 포인팅-로버트슨 효과[18][21]로 인해 입자가 목성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궤도 경사가 여기된다. 할로 고리의 내부 경계는 2:1 로렌츠 공명에서 멀지 않다.[18][29][30] 주 고리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할로 고리는 주 고리와 같은 나이를 갖는다.[9]
거미줄 고리의 먼지는 주 고리와 헤일로 고리의 먼지와 같은 방식으로 발생하며,[21] 그 기원은 각각 목성의 내부 위성인 아말테아와 테베이다. 목성계 외부에서 오는 발사체의 고속 충돌은 표면에서 먼지 입자를 방출한다.[21] 이 입자들은 처음에는 위성과 동일한 궤도를 유지하지만, 점차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안쪽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한다.[21] 거미줄 고리의 두께는 위성의 궤도 경사로 인한 수직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9]
테베 익스텐션과 같이 아직 설명되지 않은 속성도 있는데, 이는 테베 궤도 밖에 있는 보이지 않는 물체 때문일 수 있다.[9] 테베 익스텐션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목성 자기권에서 나오는 전자기력의 영향이다. 먼지가 목성 뒤의 그림자에 들어가면 전하를 상당히 빨리 잃고, 작은 먼지 입자는 부분적으로 행성과 함께 공전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지나가는 동안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테베 거미줄 고리의 바깥쪽 확장을 생성한다.[35]
아말테아 궤도 바로 안쪽에서 밝기가 최고조에 달하는 현상은 아말테아의 선행(L4) 및 후행(L5) 라그랑주 점에 갇힌 먼지 입자 때문일 수 있다.[31] 먼지는 테베의 선행 및 후행 라그랑주 점에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거미줄 고리에 두 개의 입자 집단이 있음을 시사한다.[31]
2006년 ''뉴 호라이즌스''는 히말리아 궤도 안쪽에 평행하게 놓인 희미하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고리를 촬영했다. 이는 히말리아에 작은 위성이 충돌하여 생긴 잔해일 가능성이 있으며, 목성이 충돌을 통해 계속해서 작은 위성을 얻고 잃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36]
6. 탐사
목성의 고리는 1979년 보이저 1호가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이는 태양계에서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다.[77]
1975년 파이어니어 11호의 목성 방사선대 관측에서 목성 고리의 존재가 처음으로 암시되었다.[113] 1979년 보이저 1호는 고리가 찍힌 사진 한 장을 촬영하였고,[77] 같은 해 보이저 2호는 더 광범위한 사진을 촬영하여 고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79]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목성을 탐사했던 갈릴레오 탐사선은 고리를 매우 상세하게 찍은 사진들을 보내왔다.[81]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켁 천문대를 이용한 지상 관측,[103]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을 통해[91] 후방 산란광으로 관측 가능한 고리의 구조가 밝혀졌다.
2000년, 토성으로 향하던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은 고리를 추가적으로 관측했으며,[114] 2007년 2~3월에 뉴 허라이즌스가 촬영한 사진들은 주 고리의 구조를 처음으로 선명하게 보여주었다.[87]
2006년 9월, NASA의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가 중력 보조를 위해 목성에 접근하면서, 불규칙 위성 히말리아 궤도의 안쪽과 평행하게 놓인 희미하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행성 고리 또는 고리 아크로 보이는 것을 촬영했다.[36]
미래의 목성 탐사선들 또한 고리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밝혀낼 것이다.[115]
참조
[1]
논문
The Jupiter System through the Eyes of Voyager 1
1979
[2]
서적
Encyclopedia of Planetary Science
https://link.springe[...]
Springer, Dordrecht
2023-03-05
[3]
논문
Planetary rings
http://www.iop.org/E[...]
2002
[4]
논문
Jupiter's Ring System: New Results on Structure and Particle Properties
1987
[5]
논문
The Dynamical Viability of an Extended Jupiter Ring System
2022-08-26
[6]
논문
The Structure of Jupiter's Ring System as Revealed by the Galileo Imaging Experiment
1999
[7]
문서
[8]
문서
[9]
서적
Jupiter's ring-moon system
http://www.astro.um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0]
간행물
Updates On The Dusty Rings Of Jupiter, Uranus And Neptune
2005-09-26
[11]
논문
Ring Leader
2007-05-07
[12]
웹사이트
Jupiter's Rings: Sharpest View
http://pluto.jhuapl.[...]
NASA/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07-05-01
[13]
논문
Keck observations of the 2002–2003 jovian ring plane crossing
https://digital.libr[...]
[14]
논문
Ground-based Near Infrared Spectroscopy of Jupiter's Ring and Moons
2006
[15]
논문
Galileo NIMS Near-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http://pdfs.semantic[...]
2000
[16]
논문
Near Infrared Photometry of the Jovian Ring and Adrastea
1999
[17]
논문
The Size Distribution of Jupiter's Main Ring from Galileo Imaging and Spectroscopy
2004
[18]
서적
Springer
2001
[19]
논문
The Jovian Rings: New Results Derived from Cassini, Galileo, Voyager, and Earth-based Observations
http://ciclops.org/m[...]
2004
[20]
논문
Amalthea's Density Is Less Than That of Water
2005
[21]
논문
The Formation of Jupiter's Faint Rings
http://www.astro.umd[...]
1999
[22]
논문
Clump Detections and Limits on Moons in Jupiter's Ring System
http://pdfs.semantic[...]
2007
[23]
웹사이트
Forensic sleuthing ties ring ripples to impacts
http://www.ciclops.o[...]
Cassini Imaging Central Laboratory for Operations
2011-03-31
[24]
웹사이트
Subtle Ripples in Jupiter's Ring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Caltech / SETI
2011-03-31
[25]
논문
The impact of comet Shoemaker-Levy 9 sends ripples through the rings of Jupiter
https://pdfs.semanti[...]
2011
[26]
웹사이트
Tilting Saturn's rings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 / Space Science Institute
2011-03-31
[27]
논문
Saturn's curiously corrugated C Ring
2011
[28]
논문
Keck 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near Earth's 1997 Ring Plane Crossing
http://www.astro.umd[...]
1999
[29]
논문
A Comparison of Lorentz, Planetary Gravitational, and Satellite Gravitational Resonances
http://www.astro.umd[...]
1994
[30]
논문
Lorentz Resonances and the Structure of the Jovian Ring
1985
[31]
논문
Properties and dynamics of Jupiter's gossamer rings from Galileo, Voyager, Hubble and Keck images
http://www.astro.umd[...]
2008
[32]
논문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2009
[33]
논문
The Galileo Star Scanner Observations at Amalthea
2004
[34]
간행물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2004-07-18
[35]
논문
The sculpting of Jupiter's gossamer rings by its shadow
http://www.astro.umd[...]
2008
[36]
간행물
A New Ring or Ring Arc of Jupiter?
https://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0-03
[37]
논문
Radiation Belts of Jupiter—A Second Look
1975
[38]
논문
Observations with the Visual and Infrared Mapping Spectrometer (VIMS) during Cassini's Flyby of Jupiter
2003
[39]
웹사이트
Juno—NASA New Frontiers Mission to Jupiter
http://juno.wisc.edu[...]
2007-06-06
[40]
문서
未発見の親天体を含む。
[41]
뉴스
Lunar marriage may have given Jupiter a ring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0-03-20
[42]
논문
Jupiter's Ring System: New Results on Structure and Particle Properties
[43]
논문
The Structure of Jupiter’s Ring System as Revealed by the Galileo Imaging Experiment
[44]
서적
Jupiter's Ring-Moon System
http://www.astro.um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Updates On The Dusty Rings Of Jupiter, Uranus And Neptune
https://ui.adsabs.ha[...]
2005-09-26
[46]
논문
Ring Leader
2007-05-07
[47]
웹사이트
Jupiter's Rings: Sharpest View
http://pluto.jhuapl.[...]
NASA/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11-09-29
[48]
논문
Keck observations of the 2002-2003 jovian ring plane crossing
2008-05
[49]
논문
Ground-based Near Infrared Spectroscopy of Jupiter's Ring and Moons
[50]
논문
Galileo NIMS Near-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51]
논문
Near Infrared Photometry of the Jovian Ring and Adrastea
[52]
논문
The Size Distribution of Jupiter's Main Ring from Galileo Imaging and Spectroscopy
[53]
서적
Dusty Rings and Circumplanetary Dust: Observations and Simple Physics
http://www.astro.umd[...]
Springer
[54]
논문
The Jovian Rings: New Results Derived from Cassini, Galileo, Voyager, and Earth-based Observations
http://ciclops.org/m[...]
[55]
논문
Amalthea's Density Is Less Than That of Water
[56]
논문
The Formation of Jupiter's Faint Rings
http://www.astro.umd[...]
[57]
논문
Clump Detections and Limits on Moons in Jupiter's Ring System
[58]
웹사이트
Forensic sleuthing ties ring ripples to impacts
http://www.ciclops.o[...]
Cassini Imaging Central Laboratory for Operations
2011-03-31
[59]
웹사이트
Subtle Ripples in Jupiter's Ring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Caltech / SETI
2011-03-31
[60]
논문
The impact of comet Shoemaker-Levy 9 sends ripples through the rings of Jupiter
[61]
웹사이트
Tilting Saturn's rings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 / Space Science Institute
2011-03-31
[62]
논문
Saturn's curiously corrugated C Ring
[63]
논문
Keck 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near Earth's 1997 Ring Plane Crossing
http://www.astro.umd[...]
[64]
논문
A Comparison of Lorentz, Planetary Gravitational, and Satellite Gravitational Resonances
http://www.astro.umd[...]
[65]
논문
Lorentz Resonances and the Structure of the Jovian Ring
[66]
논문
Properties and dynamics of Jupiter's gossamer rings from Galileo, Voyager, Hubble and Keck images
http://www.astro.umd[...]
[67]
논문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68]
논문
The Galileo Star Scanner Observations at Amalthea
[69]
간행물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https://ui.adsabs.ha[...]
2004-07-18
[70]
논문
The sculpting of Jupiter's gossamer rings by its shadow
http://www.astro.umd[...]
[71]
문서
L4及びL5
[72]
웹사이트
FAQ: Why don't you have Jovian satellite S/2000 J11 in your system?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02-13
[73]
논문
Radiation Belts of Jupiter-A Second Look
[74]
논문
Observations with the Visual and Infrared Mapping Spectrometer (VIMS) during Cassini's Flyby of Jupiter
[75]
웹사이트
Juno-NASA New Frontiers Mission to Jupiter
http://juno.wisc.edu[...]
2007-06-06
[76]
뉴스
Moon marriage may have given Jupiter a ring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0-03-17
[77]
논문
[78]
논문
http://www.iop.org/E[...]
2017-08-15
[79]
논문
[80]
문서
[81]
논문
The Structure of Jupiter’s Ring System as Revealed by the Galileo Imaging Experiment
1999
[82]
문서
[83]
문서
[84]
백과사전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5]
컨퍼런스
Updates On The Dusty Rings Of Jupiter, Uranus And Neptune
2005-09-26
[86]
논문
Ring Leader
2007-05-07
[87]
웹인용
Jupiter's Rings: Sharpest View
http://pluto.jhuapl.[...]
NASA/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07-05-01
[88]
논문
Keck observations of the 2002–2003 jovian ring plane crossing
[89]
논문
Ground-based Near Infrared Spectroscopy of Jupiter's Ring and Moons
2006
[90]
논문
Galileo NIMS Near-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2000
[91]
논문
Near Infrared Photometry of the Jovian Ring and Adrastea
1999
[92]
논문
The Size Distribution of Jupiter's Main Ring from Galileo Imaging and Spectroscopy
2004
[93]
백과사전
Springer
2001
[94]
논문
The Jovian Rings: New Results Derived from Cassini, Galileo, Voyager, and Earth-based Observations
http://ciclops.org/m[...]
2004
[95]
논문
Amalthea's Density Is Less Than That of Water
2005
[96]
논문
The Formation of Jupiter's Faint Rings
http://www.astro.umd[...]
1999
[97]
논문
Clump Detections and Limits on Moons in Jupiter's Ring System
2007
[98]
웹인용
Forensic sleuthing ties ring ripples to impacts
http://www.ciclops.o[...]
Cassini Imaging Central Laboratory for Operations
2011-03-31
[99]
웹인용
Subtle Ripples in Jupiter's Ring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Caltech / SETI
2011-03-31
[100]
논문
The impact of comet Shoemaker-Levy 9 sends ripples through the rings of Jupiter
2011
[101]
웹인용
Tilting Saturn's rings
http://www.ciclops.o[...]
NASA / Jet Propulsion Laboratory / Space Science Institute
2011-03-31
[102]
논문
Saturn's curiously corrugated C Ring
2011
[103]
논문
Keck Infrared Observations of Jupiter's Ring System near Earth's 1997 Ring Plane Crossing
http://www.astro.umd[...]
1999
[104]
논문
A Comparison of Lorentz, Planetary Gravitational, and Satellite Gravitational Resonances
http://www.astro.umd[...]
1994
[105]
논문
Lorentz Resonances and the Structure of the Jovian Ring
1985
[106]
저널
Properties and dynamics of Jupiter's gossamer rings from Galileo, Voyager, Hubble and Keck images
http://www.astro.umd[...]
2008
[107]
저널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2009
[108]
저널
The Galileo Star Scanner Observations at Amalthea
2004
[109]
콘퍼런스
Galileo In-Situ Dust Measurements in Jupiter's Gossamer Rings
2004-07-18
[110]
저널
The sculpting of Jupiter's gossamer rings by its shadow
http://www.astro.umd[...]
2008
[111]
웹인용
FAQ: Why don't you have Jovian satellite S/2000 J11 in your system?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1-02-13
[112]
웹인용
MPEC 2012-R22 : S/2000 J 11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2-09-11
[113]
저널
Radiation Belts of Jupiter—A Second Look
https://archive.org/[...]
1975
[114]
저널
Observations with the Visual and Infrared Mapping Spectrometer (VIMS) during Cassini's Flyby of Jupiter
2003
[115]
웹인용
Juno—NASA New Frontiers Mission to Jupiter
http://juno.wisc.edu[...]
2007-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